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

민생회복 소비쿠폰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84개 시군 확인하기(수도권, 비수도권 포함)

2025년 정부는 전 국민 대상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모든 국민이 동일한 금액을 받는 것은 아니며, 거주 지역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수도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을 시·군 단위로 상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번 글은 지역별 정보를 중심으로 구성했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정리된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 1인당 최대 52만원 받는 방법 전국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 – 지급 조건·시기·혜택 확인하기 민생회복 소비쿠폰 계산기 – 지급 예상금액 지금 확인하기

 

목차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84개 시군 확인 배너 – 내가 사는 지역도 포함되는지 확인하기 버튼 포함

 

행정안전부 인구감소지역 확인하기

 

내가 사는 지역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 걸까요?
이 글은 정책 전반 설명이 아닌, 지역별 지급 금액과 지원 대상 여부만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한 내용입니다.


본인이 거주하는 곳이 수도권, 비수도권,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바로 확인해 보세요.

 

 

 

1. 기본 지급 대상

대한민국 내에 거주하고 있는 모든 국민이 기본 지급 대상입니다.
1차 지급 기준일인 2025년 6월 18일 이전부터 국내에 거주하고 있다면, 누구나 기본 지급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비수도권 거주자 추가 지원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기본 지급액에 3만 원이 추가로 지원됩니다.
예를 들어,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세종뿐 아니라 강원, 충청, 전라, 경상, 제주 등 대부분의 광역지자체가 해당합니다.

 

 

3.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추가 지원

행정안전부가 지정한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84개 시·군의 주민에게는 기본 지급액에 5만 원이 추가로 지급됩니다.
이 지역들은 주로 지방 농촌 지역 중 인구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는 곳으로, 국가 차원의 균형 발전 지원 대상입니다.

다만, 인구감소지역 중에서도 도시 자치구 5곳은 제외되므로, 거주지 기준은 관할 주민센터나 정부 공지사항을 참고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행정안전부 인구감소지역 확인하기

 

 

💡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기준 정리

출처: 행정안전부, 2025년 인구감소지역 고시 기준
구분 지급 내용 및 지역
1. 수도권
(서울·경기·인천)
기본 지급액만 해당

  •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 전체
  • 경기도: 31개 시·군 전체
    ※ 단, 가평군·연천군은 인구감소지역 (아래 별도)
  • 인천광역시: 10개 구·군 전체
    ※ 단, 강화군·옹진군은 인구감소지역
2. 비수도권
(서울·경기·인천 제외)
기본 지급액 + 3만 원 추가

  • 광역시: 부산(16), 대구(8, 군위군 포함), 광주(8), 대전(5), 울산(5)
  • 세종특별자치시
  • 강원특별자치도: 18개 시·군
    ※ 인구감소지역 12곳 포함
  • 충청북도: 11개 시·군 (인구감소지역 6곳)
  • 충청남도: 15개 시·군 (인구감소지역 9곳)
  • 전라북도: 14개 시·군 (인구감소지역 10곳)
  • 전라남도: 22개 시·군 (인구감소지역 16곳)
  • 경상북도: 23개 시·군 (인구감소지역 15곳)
  • 경상남도: 18개 시·군 (인구감소지역 11곳)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귀포시
3. 인구감소지역
(농어촌 84개 시·군)
기본 지급액 + 5만 원 추가

2025년 행정안전부 지정 인구감소지역:


  • 인천: 강화군, 옹진군
  • 경기: 가평군, 연천군
  • 강원: 고성군, 삼척시,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 철원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
  • 충북: 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제천시
  • 충남: 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보령시, 부여군, 서천군,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
  • 전북: 고창군, 김제시, 남원시,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정읍시, 진안군
  • 전남: 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
  • 경북: 고령군, 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 경남: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밀양시,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 대구: 군위군
※ 인구감소지역은 일부 읍·면·동만 해당될 수 있으며, 실제 지급 대상 여부는 주민센터 또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서 확인 바랍니다.

 

 

 

※ 본 글은 특정 제도 참여, 상품 가입 또는 법률상담을 강제하거나 대가를 요구하지 않으며, 정보 활용에 대한 최종 책임은 사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실제 조건이나 절차는 시기·기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관련 기관이나 전문가의 확인을 권장드립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지원 제도를 소개합니다.